태그: 시각 편집 |
잔글 ("선법의 종류와 선법을 찾는 법" 문서를 보호했습니다 ([편집=관리자만 허용] (무기한) [이동=관리자만 허용] (무기한)) [연쇄적]) |
||
(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) | |||
2번째 줄: | 2번째 줄: | ||
== 현대적인(현대 재즈 모드) 기준에 따른 분류 == |
== 현대적인(현대 재즈 모드) 기준에 따른 분류 == |
||
− | Ionian (Mode) → 도~도 (으뜸음 특성상 |
+ | Ionian (Mode) → 도~도 (으뜸음 특성상 훗날 [[장조]] 체계로 통폐합되었다) |
Dorian (Mode) → 레~레 |
Dorian (Mode) → 레~레 |
||
12번째 줄: | 12번째 줄: | ||
Mixolydian (Mode) → 솔~솔 |
Mixolydian (Mode) → 솔~솔 |
||
− | Aeolian (Mode) → 라~라 (으뜸음 특성상 |
+ | Aeolian (Mode) → 라~라 (으뜸음 특성상 훗날 [[단조]] 체계로 통폐합되었다) |
Locrian (Mode) → 시~시 |
Locrian (Mode) → 시~시 |
2022년 4월 11일 (월) 08:32 기준 최신판
상위 문서: 선법
현대적인(현대 재즈 모드) 기준에 따른 분류
Ionian (Mode) → 도~도 (으뜸음 특성상 훗날 장조 체계로 통폐합되었다)
Dorian (Mode) → 레~레
Phrygian (Mode) → 미~미
Lydian (Mode) → 파~파
Mixolydian (Mode) → 솔~솔
Aeolian (Mode) → 라~라 (으뜸음 특성상 훗날 단조 체계로 통폐합되었다)
Locrian (Mode) → 시~시
특정 으뜸음의 선법 (음계) 찾는 법
당연히 중심음은 12음 중 뭐가 돼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당연히 도, 레, 미... 순은 각 장조의 1, 2, 3번째... 음을 의미하는 것이다.
이 성질을 알면, 예를 들어 A Dorian은 A가 '레' 음인 장조에서 '레'로 시작하는 음계로 순서대로 재배열하는 식으로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.
- 그 과정의 결과로, 우리는 A Dorian의 중심음이 A이며, 중심음 기준으로 A, B, C, D, E, F#, G 순서의 음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Major와 Minor 계열 기준으로 나눈 분류법
※ 1음과 3음간의 음정이 장음정인지 단음정인지의 기준으로 분류함
Major 계열(장음정)
- Ionian
- Lydian (Ionian #4)
- Mixolydian (Ionian ♭7)
Minor 계열(단음정)
- Aeolian
- Dorian (Aeolian #6)
- Phrygian (Aeolian ♭2)
- Locrian (Aeolian ♭2 ♭5)
Major 계열(장음정) |
Minor 계열(단음정) | ||
---|---|---|---|
![]() C Ionian |
![]() C Aeolian | ||
![]() C Lydian |
![]() C Dorian | ||
![]() C Mixolydian |
![]() C Phrygian | ||
![]() C Locrian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