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위 문서: 메이저 스케일
5도권에 따른 주변(1차관계)의 조성 | ||||
---|---|---|---|---|
F 단조(♭4개) | ♭
4도 상행 (5도 하행) |
C 단조(♭3개) | #
5도 상행 (4도 하행) |
G 단조(♭2개) |
동주조 | 동주조 | 동주조 | ||
F 장조(♭1개) | ♭
4도 상행 (5도 하행) |
C 장조 | #
5도 상행 (4도 하행) |
G 장조(#1개) |
나란한조 | 나란한조 | 나란한조 | ||
D 단조(♭1개) | ♭
4도 상행 (5도 하행) |
A 단조 | #
5도 상행 (4도 하행) |
E 단조(#1개) |
설명
전통적으로는 다장조라고도 부른다
C 장조의 음계

C 장조의 음계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 | D | E | F | G | A | B |
C 장조의 Diatonic 코드 | 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화음
(triad chord) |
C | Dm | Em | F | G | Am | Bdim |
도수 |
1
(T, 주화음) |
2
(SD, 부화음) |
3
(T, 부화음, 현대 재즈화성) |
4
(SD, 주화음) |
5
(D, 주화음) |
6
(T, 부화음) |
7
(D, 부화음) |
7화음
(seventh chord) |
CM7 | Dm7 | Em7 | FM7 | G7 | Am7 | Bm7(♭5) |